역대 최대 수출 붐업코리아 위크 개막
역대 최대 규모의 2025 수출 붐업코리아 위크가 킨텍스에서 개막되었습니다. 이 행사에는 70개국의 1700여 개 글로벌 바이어와 약 4000개의 국내 수출 기업이 참가하여 K-수출 세일즈를 시작했습니다. 이번 위크는 APEC 정상회의와 연계하여 수출과 지역 경제를 동시에 활성화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역대 최대 규모의 글로벌 바이어 참가
2025 수출 붐업코리아 위크는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되었습니다. 산업통상부는 이번 행사에 70개국에서 1700여 개 바이어가 방한하여 국내 수출 기업과의 상담을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에 비해 70% 증가한 규모는 국내 경제와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들이 참여하여 더욱 다양한 상담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행사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한국의 수출 제품과 서비스를 세계에 알리는 것입니다. 특히, 전자, 반도체, 미래차, 조선해양, 바이오 및 소비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가 참여하여 참관객들에게 폭넓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채로운 사업 전시는 바이어와 수출 기업 간의 연결뿐만 아니라, 한국의 산업 경쟁력을 한층 더 높이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또한, 수출 붐업코리아 위크의 다양한 관련 전시회도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8개 늘어난 28개의 전시회가 열리며, 이를 통해 바이어와의 상담 기회를 더욱 확대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전시회는 각 지역의 특성과 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더욱 효과적인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산업부는 수출 상담과 지역 경제 활성화의 동시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K-수출 세일즈의 새로운 전환점
2025 수출 붐업코리아 위크는 한국 기업들에게 K-수출 세일즈의 새로운 전환점을 제공합니다. 회사들은 새로운 바이어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직접적인 수출 상담을 진행하고, 계약 체결로 이어질 전략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예상되는 수출 상담 건수 또한 1만 건에 달하여 역대 최대 규모인 3억 5000만 달러의 계약과 MOU 체결이 기대됩니다.
수출 상담회는 2015년부터 개최된 육성 행사로, 이번 년도에는 더욱 많은 기업과 글로벌 바이어가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AI 및 데이터와 같은 첨단 산업과 한류 관련 소비재 및 서비스 산업 전시관도 함께 구성되어 있어,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사업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K-기업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번 행사에 참여한 부산 국제조선해양산업전과 기타 전시회들 간의 연계는 참가 기업들에게 큰 시너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산업 전시회에 참석한 바이어와의 만남은 각 기업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해외 시장 진출에 대한 긍정적인 노력을 강화하는 기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수출과 지역 경제의 동반 성장
2025 수출 붐업코리아 위크는 정부, 지방 정부, 협회 및 전시장이 긴밀히 협력하여 수출과 지역 경제의 동반 성장을 이루고자 합니다. 해외 무역관에서는 지역의 요구에 부응하는 바이어를 모집하여 적합한 상담 기회를 제공하며, 국내 지자체와 전시장 등 유관 기관들도 함께 협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올해는 '블레저(Business+Leisure)' 프로그램을 통해 해외 바이어들이 한국 문화를 더욱 깊이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했습니다. 수도권 한강 크루즈와 전통 한복 체험, 경주 문화 투어와 치맥 페스티벌, 충청 전통주 체험 및 호남 해상 케이블카 및 미식 투어 등의 프로그램은 해외 바이어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으로 남을 것입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기업과 바이어 간의 관계 형성을 도와주며, 한국의 매력을 세계에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될 것입니다. 산업통상부는 이러한 기회를 통해 한국 기업들이 더욱 많은 수출을 이끌어내고, 일본, 미국, 유럽 등 세계 시장에서의 입지를 넓힐 수 있도록 지원할 것입니다.
이번 2025 수출 붐업코리아 위크는 한국 기업의 혁신 역량을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는 중요한 기회입니다. 앞으로도 정부는 기업의 열정과 지원을 통해 K-기업의 브랜드 파워를 더욱 키워나가도록 도울 것입니다. 이 행사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통해 향후 더 많은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보입니다.
문의: 산업통상부 무역정책관 무역진흥과(044-203-4033)
